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Elements:Electronics/ko"
TPTManiaKOR (talk | contribs) (Enter a short summary [b]) |
|||
(11 intermediate revisions by 4 users not shown) | |||
Line 1: | Line 1: | ||
{{Languages|Elements:Electronics}} | {{Languages|Elements:Electronics}} | ||
− | + | == Electronics == | |
+ | 이 분류에서는 전류로 작동하여 물질을 생성, 파괴, 복제하는 물질들이 존재한다. 몇몇 물질은 다른 물질에 다른 방식으로 전기를 제공한다. 대부분은 굉장히 유용한 기능들을 지니고 있다. | ||
− | = | + | Ctrl + '=' 키 조합으로 화면상의 모든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단, BTRY 등 전기를 흘리는 것이 있을 때는 다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
− | |||
− | |||
− | + | === [[File:METL.png|METL]] [[Element:METL/ko|메탈]] === | |
− | === [[File:METL.png|METL]] [[Element:METL/ko| | ||
'''설명:''' | '''설명:''' | ||
− | + | "가장 기본이 되는 전도체이며 융해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가장 기본적인 전도체로, SPRK가 흐르면 300°C까지 가열된다. | |
=== [[File:SPRK.png|SPRK]] [[Element:SPRK/ko|전류]] === | === [[File:SPRK.png|SPRK]] [[Element:SPRK/ko|전류]] === | ||
'''설명:''' | '''설명:''' | ||
− | + | "여기에서 구현된 모든 전자 장치의 기본이며, 전도체를 따라 이동합니다." | |
− | |||
− | |||
− | SPRK는 대부분의 | + | 인게임에서 전기를 표현하는 전류이다. 단독으로 놓이지 못하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에 그 물질을 대신하는 방식으로 놓인다. SPRK는 대부분의 전도체를 지나면서 열과 압력을 발생시킨다. SPRK는 [[Element:INSL/ko|INSL]]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두 전도체 사이에 INSL이 있다면 전류는 상대 전도체로 흐르지 않는다. (대각선으로 막혔을 때도 적용된다.) 몇몇 물질은 특수한 규칙 하에 전류를 다른 전도체에 전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선 각각의 물질 설명을 참고. |
− | === [[File:PSCN.png|PSCN]] [[Element:PSCN/ko| | + | === [[File:PSCN.png|PSCN]] [[Element:PSCN/ko|P형 실리콘]] === |
− | [[:basic_electronics/ko| | + | [[:basic_electronics/ko|회로 튜토리얼도 참고할 것.]] |
'''설명:''' | '''설명:''' | ||
− | + | "아무 전도체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
− | 규칙에 | + | 규칙에 상관없이 모든 전도체에 전류를 전달한다. 주로 전원식 물질을 켜거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P형 실리콘은 또한 N형 실리콘과 결합하여 PHOT를 SPRK로 바꾸는 데 쓰인다. |
+ | |||
+ | 주: 주로 PSCN을 1픽셀 두께로 배치하고 그 옆에 NSCN을 배치하여 태양광 패널을 만든다. | ||
− | === [[File:NSCN.png|NSCN]] [[Element:NSCN/ko| | + | === [[File:NSCN.png|NSCN]] [[Element:NSCN/ko|N형 실리콘]] === |
− | [[:basic_electronics/ko| | + | [[:basic_electronics/ko|회로 튜토리얼도 참고할 것.]] |
'''설명:''' | '''설명:''' | ||
− | + | "PSCN에 전류를 전달하지 않습니다." | |
− | + | 물질로부터 주로 전류를 받기만 하는 성질이 있으며(예시: [[Element:WIFI/ko|WIFI]], [[Element:INST/ko|INST]]), 어떤 경우에도 PSCN으로는 전류를 전달하지 않는다. 주로 전원식 물질을 끄거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 |
=== [[File:INSL.png|INSL]] [[Element:INSL/ko|절연체]] === | === [[File:INSL.png|INSL]] [[Element:INSL/ko|절연체]] === | ||
'''설명:''' | '''설명:''' | ||
− | + | "열과 전류를 막지만 불에 탈 수 있습니다," | |
− | 절연체는 열을 | + | 절연체는 열을 흡수하거나 발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에 민감한 물체를 보호하는 데 쓰인다. 두께가 1픽셀만 되어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한다. 단, 불에 타므로 화염에 주의해야 한다. |
− | 절연체는 2픽셀 | + | 절연체는 또한 2픽셀 내의 SPRK나 전자로부터 전기가 흐르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전도체 사이 1픽셀에 절연체가 있다면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된다. |
− | === [[File:NTCT.png|NTCT]] [[Element:NTCT/ko| | + | === [[File:NTCT.png|NTCT]] [[Element:NTCT/ko|고온형 반도체]] === |
− | [[:basic_electronics/ko| | + | [[:basic_electronics/ko|회로 튜토리얼도 참고할 것.]] |
+ | 주: 정식 명칭은 부온도계수(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이다. | ||
'''설명:''' | '''설명:''' | ||
− | + | "100°C 이상에서만 전류가 흐릅니다." | |
+ | |||
+ | 평시에는 PSCN과 NSCN에게 모두 전류를 줄 수 있지만, 받기는 NSCN으로부터만 된다. | ||
− | + | 99.85°C 이상의 열을 받으면 PSCN과 NSCN 사이에 모두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 |
− | |||
− | + | 주변의 METL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스스로 200°C까지 달아오른다. | |
− | + | 21.85°C이상으로 뜨거울 때는 프레임당 2.5°C씩 스스로의 온도를 낮춘다. | |
− | |||
− | |||
− | |||
− | |||
− | === [[File:PTCT.png|PTCT]] [[Element:PTCT/ko| | + | === [[File:PTCT.png|PTCT]] [[Element:PTCT/ko|저온형 반도체]] === |
− | [[:basic_electronics/ko| | + | [[:basic_electronics/ko|회로 튜토리얼도 참고할 것.]] |
+ | 주: 정식 명칭은 정온도계수(PTC)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이다. | ||
'''설명:''' | '''설명:''' | ||
− | + | "100°C 이하에서만 전류가 흐릅니다." | |
+ | |||
+ | 평시에는 PSCN과 NSCN 사이에 모두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다. | ||
+ | |||
+ | 99.85°C이상의 열을 받으면 PSCN과 NSCN에게 모두 전류를 줄 수 있지만, 받기는 NSCN으로부터만 가능하게 된다. | ||
− | + | 주변의 METL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스스로 200°C까지 달아오른다. | |
+ | |||
+ | 21.85°C보다 뜨거울 때는 프레임당 2.5°C씩 스스로의 온도를 낮춘다. | ||
=== [[File:ETRD.png|ETRD]] [[Element:ETRD/ko|전극]] === | === [[File:ETRD.png|ETRD]] [[Element:ETRD/ko|전극]] === | ||
'''설명:''' | '''설명:''' | ||
− | + | "플라스마 아크를 생성합니다(조금씩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
− | + | 전류를 받으면 가까운 전극을 찾은 다음 그 사이에 플라스마로 된 선을 생성하고 전류를 흘린다. 전극을 사용할 때에는 1픽셀씩만 사용하여야 한다. 더 사용하게 되면 너무 많은 플라스마가 생성되어 프레임 레이트가 낮아질 수 있으며, 2개 이상 쓰면 플라스마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생성된다. 전극 사이에 [[Element:INSL/ko|INSL]]이 있다면, 플라스마가 생성되지 않는다. 단, 벽 탭으로 분류된 벽들이 사이에 있을 때는 플라스마가 생성된다. | |
=== [[File:BTRY.png|BTRY]] [[Element:BTRY/ko|전지]] === | === [[File:BTRY.png|BTRY]] [[Element:BTRY/ko|전지]] === | ||
'''설명:''' | '''설명:''' | ||
− | " | + | "전류를 무한히 방출합니다." |
− | 대부분의 전도체에 | + | 대부분의 전도체에 전기를 흘린다. |
=== [[File:SWCH.png|SWCH]] [[Element:SWCH/ko|스위치]] === | === [[File:SWCH.png|SWCH]] [[Element:SWCH/ko|스위치]] === | ||
'''설명:''' | '''설명:''' | ||
− | + |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에만 전류가 전달됩니다. PSCN으로 활성화하고 NSCN으로 비활성화합니다." | |
− | + | PSCN으로부터 전류를 받으면 밝은 초록색으로 켜져서 전류를 흘리고, NSCN으로부터 전류를 받으면 어두운 초록색으로 꺼져서 더 이상 전류를 흘리지 않게 된다. 데코레이션을 입히면 전등으로도 쓸 수 있다. | |
− | + | === [[File:INWR.png|INWR]] [[Element:INWR/ko|절연 전선]] === | |
+ | '''설명:''' | ||
+ | "전류를 PSCN 및 NSCN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 ||
− | + | 메탈이나 타 반도체로는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고, 오로지 PSCN과 NSCN만 여기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 |
− | |||
− | |||
− | + | 1413.85°C/1687K에서 융해된 INWR으로 녹는다. | |
− | + | === [[File:TESC.png|TESC]] [[Element:TESC/ko|테슬라 코일]] === | |
+ | '''설명:''' | ||
+ | "전류를 받으면 번개를 생성합니다.." | ||
− | + | 전류를 받으면 [[Element:LIGH/ko|LIGH]]을 생성한다. 그 크기는 설정해놓은 tmp 값(배치 시에 사용한 브러시의 크기에 비례)에 따라 달라진다. | |
− | |||
− | |||
− | + | === [[File:INST.png|INST]] [[Element:INST/ko|고속 전도체]] === | |
+ | '''설명:''' | ||
+ | "전류를 PSCN에서 받아 NSCN으로 즉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
− | + | 전류를 즉시 전달한다. PSCN으로 활성화하고 NSCN으로 받을 수 있다. 전도체 벽과 속성이 비슷하며, 압력에 의해 부서지거나 녹지 않는다. 굵기 1로 십자(+)로 교차하게 배치할 경우 전류가 꺾지 않고 직선으로 통과하여 전달된다. | |
− | |||
− | |||
− | + | === [[File:WIFI.png|WIFI]] [[Element:WIFI/ko|무선 송신기]] === | |
+ | '''설명:''' | ||
+ | "같은 온도 채널의 다른 송신기로 전류를 전달합니다." | ||
− | + | NSCN을 제외한 모든 전도체로부터 전류를 받아서 NSCN, INWR, PSCN으로만 전달할 수 있다. 총 101개의 채널이 있고, 0K부터 73.15K가 첫 번째고 그 뒤로 100도 당 1개의 채널이 존재한다. | |
− | |||
− | |||
− | + | === [[File:ARAY.png|ARAY]] [[Element:ARAY/ko|A-Type 광선 방출기]] === | |
− | + | '''설명:''' | |
+ | "이 물질에서 방출되는 광선은 금속과 충돌 시 스파크를 일으킵니다." | ||
− | + | SWCH를 포함한 모든 전도체로부터 전류를 받을 수 있다. 전류를 받으면 받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BRAY 선을 생성한다. 다른 전도체와는 다르게 ARAY는 반드시 직접 닿은 채로 전기를 받아야 한다. BRAY 광선은 접촉하는 전도체에 전류를 흘린다. | |
− | + | === [[File:EMP.png|EMP]] [[Element:EMP/ko|전자기 펄스 방출기]] === | |
+ | '''설명:''' | ||
+ |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를 파괴합니다." | ||
− | + | SPRK가 EMP에 닿으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도체는 BREL 등으로 파괴된다. 작동하면 화면이 파란색으로 번쩍이며, 발동한 EMP가 많으면 많을 수록 더욱 강하게 번쩍인다. | |
− | |||
− | |||
− | + | === [[File:WWLD.png|WWLD]] [[Element:WWLD/ko|WireWorld 와이어]] === | |
+ | '''설:''' | ||
+ | "GOL과 비슷한 규칙에 따라 전기를 전달합니다." | ||
− | + | 이 전선은 WireWorld라는 게임에서 유래하는 물질로, 해당 게임에 있는 전선이다. 녹거나 압력으로 파괴되지 않는다. PSCN으로 전기를 주고, NSCN으로 받는다. WWLD는 생명 게임의 물질과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전선으로, 논리 게이트를 만들 때 극도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 |
− | + | === [[File:CRAY.png|CRAY]] [[Element:CRAY/ko|C-Type 광선 방출기]] === | |
+ | 주: 정식 명칭은 입자선 방출기(Particle Ray Emitter)이다. | ||
+ | '''설명:''' | ||
+ | "ctype으로 지정된 물질로 물질 광선을 발사합니다. tmp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CRAY는 전류를 받으면 자신의 ctype으로 설정된 물질로 된 선을 만든다. 그 방식은 ARAY와 같이 전류를 받은 반대방향에서 발사되는 방식이다. CRAY에 ctype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첫 번째로 접촉한 물체가 ctype으로 결정되나, 원하는 물질을 CRAY에 대고 클릭하여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 |
− | === [[File: | + | === [[File:TUNG.png|TUNG]] [[Element:TUNG/ko|텅스텐]] === |
− | ''' | + | '''설명:''' |
− | " | + | "매우 높은 온도에서 융해하며 부서지기 쉽습니다." |
− | + | 텅스텐은 3421.85°C/3695K에서 녹는다. 전류가 가해지면 온도가 3324°C까지도 올라가며, 이렇게 되면 밝은 흰색으로 빛난다. TUNG는 히터나 전등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GLAS나 QRTZ처럼 순간적 압력 변화에 잘 부서지며, 천천히 압력이 변할 경우에는 부서지지 않는다. | |
− | === [[File: | + | === [[File:DRAY.png|DRAY]] [[Element:DRAY/ko|D-타입 광선 방출기]] === |
− | + | 주: 정식 명칭은 복제 광선(Dupicator Ray)이다. | |
− | + | '''설명:''' | |
− | + | "앞에 있는 물질을 복사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류가 가해지면 앞에 있는 물질이 복사된다. 기본적으로는 앞에 무엇이 있든지 2배로 복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속성 값을 조절해서 조절할 수 있다. | |
[[Category:Elements]] | [[Category:Elements]] |
Latest revision as of 14:09, 16 February 2024
Language: | English • Deutsch • español • suomi • 한국어 • polski • русский • 中文(简体) |
---|
Contents
Electronics
이 분류에서는 전류로 작동하여 물질을 생성, 파괴, 복제하는 물질들이 존재한다. 몇몇 물질은 다른 물질에 다른 방식으로 전기를 제공한다. 대부분은 굉장히 유용한 기능들을 지니고 있다.
Ctrl + '=' 키 조합으로 화면상의 모든 전류를 제거할 수 있다. 단, BTRY 등 전기를 흘리는 것이 있을 때는 다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메탈
설명: "가장 기본이 되는 전도체이며 융해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전도체로, SPRK가 흐르면 300°C까지 가열된다.
전류
설명: "여기에서 구현된 모든 전자 장치의 기본이며, 전도체를 따라 이동합니다."
인게임에서 전기를 표현하는 전류이다. 단독으로 놓이지 못하고, 전도성이 있는 물질에 그 물질을 대신하는 방식으로 놓인다. SPRK는 대부분의 전도체를 지나면서 열과 압력을 발생시킨다. SPRK는 INSL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두 전도체 사이에 INSL이 있다면 전류는 상대 전도체로 흐르지 않는다. (대각선으로 막혔을 때도 적용된다.) 몇몇 물질은 특수한 규칙 하에 전류를 다른 전도체에 전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선 각각의 물질 설명을 참고.
P형 실리콘
설명: "아무 전도체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규칙에 상관없이 모든 전도체에 전류를 전달한다. 주로 전원식 물질을 켜거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P형 실리콘은 또한 N형 실리콘과 결합하여 PHOT를 SPRK로 바꾸는 데 쓰인다.
주: 주로 PSCN을 1픽셀 두께로 배치하고 그 옆에 NSCN을 배치하여 태양광 패널을 만든다.
N형 실리콘
설명: "PSCN에 전류를 전달하지 않습니다."
물질로부터 주로 전류를 받기만 하는 성질이 있으며(예시: WIFI, INST), 어떤 경우에도 PSCN으로는 전류를 전달하지 않는다. 주로 전원식 물질을 끄거나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데 쓰인다.
절연체
설명: "열과 전류를 막지만 불에 탈 수 있습니다,"
절연체는 열을 흡수하거나 발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에 민감한 물체를 보호하는 데 쓰인다. 두께가 1픽셀만 되어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한다. 단, 불에 타므로 화염에 주의해야 한다.
절연체는 또한 2픽셀 내의 SPRK나 전자로부터 전기가 흐르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전도체 사이 1픽셀에 절연체가 있다면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된다.
고온형 반도체
주: 정식 명칭은 부온도계수(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이다.
설명: "100°C 이상에서만 전류가 흐릅니다."
평시에는 PSCN과 NSCN에게 모두 전류를 줄 수 있지만, 받기는 NSCN으로부터만 된다.
99.85°C 이상의 열을 받으면 PSCN과 NSCN 사이에 모두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주변의 METL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스스로 200°C까지 달아오른다.
21.85°C이상으로 뜨거울 때는 프레임당 2.5°C씩 스스로의 온도를 낮춘다.
저온형 반도체
주: 정식 명칭은 정온도계수(PTC)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이다.
설명: "100°C 이하에서만 전류가 흐릅니다."
평시에는 PSCN과 NSCN 사이에 모두 전류를 주고받을 수 있다.
99.85°C이상의 열을 받으면 PSCN과 NSCN에게 모두 전류를 줄 수 있지만, 받기는 NSCN으로부터만 가능하게 된다.
주변의 METL로부터 전기를 받으면 스스로 200°C까지 달아오른다.
21.85°C보다 뜨거울 때는 프레임당 2.5°C씩 스스로의 온도를 낮춘다.
전극
설명: "플라스마 아크를 생성합니다(조금씩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류를 받으면 가까운 전극을 찾은 다음 그 사이에 플라스마로 된 선을 생성하고 전류를 흘린다. 전극을 사용할 때에는 1픽셀씩만 사용하여야 한다. 더 사용하게 되면 너무 많은 플라스마가 생성되어 프레임 레이트가 낮아질 수 있으며, 2개 이상 쓰면 플라스마와 전류가 반복적으로 생성된다. 전극 사이에 INSL이 있다면, 플라스마가 생성되지 않는다. 단, 벽 탭으로 분류된 벽들이 사이에 있을 때는 플라스마가 생성된다.
전지
설명: "전류를 무한히 방출합니다."
대부분의 전도체에 전기를 흘린다.
스위치
설명: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에만 전류가 전달됩니다. PSCN으로 활성화하고 NSCN으로 비활성화합니다."
PSCN으로부터 전류를 받으면 밝은 초록색으로 켜져서 전류를 흘리고, NSCN으로부터 전류를 받으면 어두운 초록색으로 꺼져서 더 이상 전류를 흘리지 않게 된다. 데코레이션을 입히면 전등으로도 쓸 수 있다.
절연 전선
설명: "전류를 PSCN 및 NSCN으로만 흐르게 할 수 있습니다."
메탈이나 타 반도체로는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고, 오로지 PSCN과 NSCN만 여기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1413.85°C/1687K에서 융해된 INWR으로 녹는다.
테슬라 코일
설명: "전류를 받으면 번개를 생성합니다.."
전류를 받으면 LIGH을 생성한다. 그 크기는 설정해놓은 tmp 값(배치 시에 사용한 브러시의 크기에 비례)에 따라 달라진다.
고속 전도체
설명: "전류를 PSCN에서 받아 NSCN으로 즉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전류를 즉시 전달한다. PSCN으로 활성화하고 NSCN으로 받을 수 있다. 전도체 벽과 속성이 비슷하며, 압력에 의해 부서지거나 녹지 않는다. 굵기 1로 십자(+)로 교차하게 배치할 경우 전류가 꺾지 않고 직선으로 통과하여 전달된다.
무선 송신기
설명: "같은 온도 채널의 다른 송신기로 전류를 전달합니다."
NSCN을 제외한 모든 전도체로부터 전류를 받아서 NSCN, INWR, PSCN으로만 전달할 수 있다. 총 101개의 채널이 있고, 0K부터 73.15K가 첫 번째고 그 뒤로 100도 당 1개의 채널이 존재한다.
A-Type 광선 방출기
설명: "이 물질에서 방출되는 광선은 금속과 충돌 시 스파크를 일으킵니다."
SWCH를 포함한 모든 전도체로부터 전류를 받을 수 있다. 전류를 받으면 받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BRAY 선을 생성한다. 다른 전도체와는 다르게 ARAY는 반드시 직접 닿은 채로 전기를 받아야 한다. BRAY 광선은 접촉하는 전도체에 전류를 흘린다.
전자기 펄스 방출기
설명: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를 파괴합니다."
SPRK가 EMP에 닿으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도체는 BREL 등으로 파괴된다. 작동하면 화면이 파란색으로 번쩍이며, 발동한 EMP가 많으면 많을 수록 더욱 강하게 번쩍인다.
WireWorld 와이어
설: "GOL과 비슷한 규칙에 따라 전기를 전달합니다."
이 전선은 WireWorld라는 게임에서 유래하는 물질로, 해당 게임에 있는 전선이다. 녹거나 압력으로 파괴되지 않는다. PSCN으로 전기를 주고, NSCN으로 받는다. WWLD는 생명 게임의 물질과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전선으로, 논리 게이트를 만들 때 극도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C-Type 광선 방출기
주: 정식 명칭은 입자선 방출기(Particle Ray Emitter)이다.
설명: "ctype으로 지정된 물질로 물질 광선을 발사합니다. tmp로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CRAY는 전류를 받으면 자신의 ctype으로 설정된 물질로 된 선을 만든다. 그 방식은 ARAY와 같이 전류를 받은 반대방향에서 발사되는 방식이다. CRAY에 ctype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첫 번째로 접촉한 물체가 ctype으로 결정되나, 원하는 물질을 CRAY에 대고 클릭하여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텅스텐
설명: "매우 높은 온도에서 융해하며 부서지기 쉽습니다."
텅스텐은 3421.85°C/3695K에서 녹는다. 전류가 가해지면 온도가 3324°C까지도 올라가며, 이렇게 되면 밝은 흰색으로 빛난다. TUNG는 히터나 전등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GLAS나 QRTZ처럼 순간적 압력 변화에 잘 부서지며, 천천히 압력이 변할 경우에는 부서지지 않는다.
D-타입 광선 방출기
주: 정식 명칭은 복제 광선(Dupicator Ray)이다.
설명: "앞에 있는 물질을 복사합니다."
전류가 가해지면 앞에 있는 물질이 복사된다. 기본적으로는 앞에 무엇이 있든지 2배로 복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속성 값을 조절해서 조절할 수 있다.